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이 정국이 탄핵 블랙홀로 급격히 빠져들면서 신규 투자계획은 고사하고 기존 계획마저 보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무역·통상 등 산업 근간까지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불안정한 정국 사태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고되면서 기업 투자와 경영활동이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트럼프 당선인은 현재 한반도를 제외한 주변 강대국들과 소통을 이어가는 것과 달리 한국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이 예상됐던 조선업과 방산 등에 기대가 컸지만 이 기회가 날아갈 우려에 놓인 것이다.
트럼프 리스크에 대한 대응도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가까운 일본만 봐도 미국 투자의사를 밝히며 민간외교를 시작으로 정상 간의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부 기업들의 움직임을 제외하면 전무 한 상황이다.
이에 기업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해외 거래처들의 이탈 등으로, 중장기적으로 산업 및 통상 여건에 타격을 입을 것이란 지적 때문이다. 주요 산업 지원 정책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책 불확실을 걱정하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주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회의에서도 이같은 우려감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 바이어들 관점에서 뉴스로 접한 소식이 '비상계엄'과 '탄핵' 등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이야기다 보니 공급망 다변화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이 우려가 현실화되면 국내 기업들의 일감이 줄어들고 미래계획에도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산업지원 법안 결정이 미뤄지는 것도 큰 문제다. 첨단 산업분야의 반도체지원법을 비롯해 상법개정안 등 당장 시급한 경제 현안들의 처리가 미뤄지고 있는 것도 상업계의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로 인한 국내 기업들의 신인도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속된 정치적 불안으로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고환율이 산업계에 미칠 부정적 영향도 우려된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국제 정세나 통상 환경이 급변하고 국내 정치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환율 불안정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사태로 해외에서의 신인도 하락에 따른 문제가 앞으로 기업들의 행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