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들, 대미 네트워크 풀가동해 '컨틴전시 플랜' 돌입
트럼프 접근 방식, 1기 때와 달라 세밀하고 신중한 접근 필요
대관 조직 정비, 트럼프 1기 출신 인사 요직 배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일성으로 보호무역 원칙을 다시 천명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발 빠른 대처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트럼프 1기보다 더욱 강력해진 '미국 우선주의'로 인해 기업별 아웃리치(대외 협력) 역량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트럼프 접근 방식, 1기 때와 달라 세밀하고 신중한 접근 필요
대관 조직 정비, 트럼프 1기 출신 인사 요직 배치
21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속전속결로 미국 우선주의 기치를 내건 다양한 행정명령 폭탄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들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2기의 경제·통상 정책들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현재로서는 불가능한 탓이다. 여기에 탄핵 정국으로 정부가 경제 외교, 정책 분석 등 지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도 우리 기업들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에 국내 대기업들은 미국 정·관계 네트워크를 최대한 가동하며 대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비상대응전략(Contingency plan·컨틴전시 플랜)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을 정도로 상황이 긴박하다는 얘기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주요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트럼프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7000만원)를 기부하며 '눈도장'을 찍은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은 하지 않았지만 트럼프 행정부와의 긴밀한 채널을 만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연말 인사에서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미주 총괄을 지낸 한진만 사장을 미국에 고객사가 많은 파운드리 사업부장으로 낙점했다. SK그룹은 지난 연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비해 지경학 이슈 대응력을 높이는 인사를 단행했다.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연구기관에서 기후변화와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를 이끌어온 김필석 박사를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환경과학기술원장으로 영입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 비서실장을 역임한 폴 딜레이니 부사장도 그룹 북미 대관 총괄로 선임하고 미국과의 관계 구축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LG그룹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백악관 부비서실장을 지낸 조 헤이긴을 2022년부터 영입해 LG워싱턴사무소장으로 등용했다. 지난해 연말에는 LG워싱턴사무소를 조 헤이긴 소장 단독 체제로 변경해 힘을 실어줬다.
다만, 재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전보다 더욱 강력해진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데다 특유의 독단적 성향도 여전해 대미 대관 업무도 한층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전 조 바이든 행정부와의 약속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어느 정도 규모로 미국에 투자했고, 그 대가로 어떤 혜택을 받기로 했는지는 '트럼프 스톰'의 파장을 줄이는 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어떻게 하는 게 미국 우선주의에 부합할지, 엄밀히 말하면 트럼프의 이익에 유리할지를 먼저 제시해야 대화가 이어질 수 있다"며 "그런 성향을 잘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트럼프의 핵심 측근과 잘 통하는 인사가 대관 업무에 나서야 리스크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