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업계, 급변하는 정책 변화에 방향성조차 잡지 못해
25% 관세 적용시 완성차 가격인상 불가피…실적 악화 우려도 변수
25% 관세 적용시 완성차 가격인상 불가피…실적 악화 우려도 변수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 등은 22일(현지 시각) 서한을 통해 관세 부과 취소를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다.
완성차 업체의 경우 각자 관세 우회를 위해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는 등 해법 마련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부품업체들은 이런 방법을 찾을 여력이 없어 미국의 규제 변화를 지켜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와 관련해 유예 가능성을 언급했고, 예정된 시행일 전에 현지 업체들이 관세 부과 취소를 촉구하면서 부품업계에 유리하게 관세 정책이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내 완성차 부품업계의 경우 규모가 작고 완성차의 2만여 개 부품 중 소수 분야에 특화된 업체들이 대다수다. 이런 부품을 납품받아 완성차로 조립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차례 국경을 오간다.
관세가 적용되면 자동차 업계 전체에 실질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이는 제품의 가격 인상으로 직결된다. 완성차 업계는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런 부담은 영세한 부품업체로까지 전가될 우려가 크다.
정상적으로 가격 인상이 된다고 해도 이에 따른 완성차 판매량 감소는 물론 납품 물량이 줄고, 영세 부품업체들의 실적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현재 국내 부품업계의 가장 큰 고민도 여기에 있다.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변화가 심한 미국 관세 정책으로 대응 방향성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면서 "관세로 인해 실적 악화 우려가 심각한데, 큰 업체들의 경우 대응 마련에 적극적인 방법을 강구하겠지만, 이런 역량이 부족한 업체들은 손쓸 방법이 없는 만큼 새로운 정책 변화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