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과의 양자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관련 인재 유치를 위한 이민정책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현재 양자컴퓨팅 분야 일자리의 절반이 채워지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방안이다.
미 에너지부의 리마 오에이드는 허드슨연구소 연설에서 "양자기술 분야 인력 부족이 수만 명에 달한다"며 "비자 옵션 확대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미국 내 박사과정 학생의 절반이 외국인임에도 현행 이민법이 이들의 체류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중 간 양자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나왔다. 정보기술혁신재단에 따르면 미국은 양자컴퓨팅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은 양자통신 분야를 지배하고 있으며 양자감지 분야에서도 미국과 대등한 수준이다.
특히, 워싱턴과 동맹국들은 중국이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자국의 암호체계를 해독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미 상원은 지난주 향후 5년간 27억 달러를 양자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퀀티뉴움의 라이언 맥케니는 "비범한 능력 비자의 자격 요건을 완화하는 등 인재 유치를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트럼프의 강경한 이민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국가 안보를 위해서는 양자기술 인재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한다.
전문가들은 중국과의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이민정책의 전략적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특히, 양자기술이 군사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제한적이더라도 관련 분야 인재 유치를 위한 정책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한다.
미국의 양자기술 인재 유치 정책 강화가 한국의 관련 분야 발전에 새로운 과제를 던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핵심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관계자는 "미국이 비자 요건을 완화할 경우 국내 양자기술 인재의 해외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며 "특히 박사급 고급 인력의 이탈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의 양자컴퓨팅 연구 인력은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양자기술 전문인력은 1000명 수준으로, 미국(2만 명)의 5%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계자는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확대가 시급하다"며 "특히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연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연구자들의 처우를 글로벌 수준으로 개선하고 연구 환경을 선진화해야 한다"며 "동시에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책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인재 유치 강화는 한국의 양자기술 발전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자체 인재 육성과 함께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