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주식 시장, 정치 불확실성 무시하고 상승세 이어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美 주식 시장, 정치 불확실성 무시하고 상승세 이어가

유권자-경제학자 간 정책 선호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S&P500 최고치 경신
전문가들 “시장과 유권자 간 괴리” 지적...장기 투자 관점 필요성 제기

돈의 전쟁, 우상향은 계속될까?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돈의 전쟁, 우상향은 계속될까? 사진=로이터

미국 주식 시장이 계속 질주하고 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주식 시장은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각)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큰 차이를 보이지만, S&P500 지수는 최근 또 다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한다”라는 오랜 격언을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시장과 유권자들 간의 괴리를 지적하며 장기적 투자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미국 정치 지형은 극도로 양극화되어 있다.

2000년 이후 거의 모든 선거에서 50대 50의 팽팽한 접전이 벌어졌고, 이번 선거도 예외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두 후보의 경제 정책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해리스 부통령은 중도 성향의 정책을,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감세와 보호무역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경제학자들이 “끔찍하다”라고 평가하는 정책들을 오히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유권자의 79%가 트럼프와 해리스가 제안한 팁에 대한 세금 폐지를 지지하는 반면, 경제학자 중에서는 단 10%만이 이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경제학자들은 이런 정책이 특정 노동자 집단에 불공평하게 유리하고, 조세 회피의 동기를 제공하며, 재정 적자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트럼프가 제안한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정책에 대해서도 조사에 참여한 39명의 경제학자 중 단 한 명도 찬성하지 않았다. 이는 보호무역주의가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를 반영한다.

반면, 많은 유권자가 이러한 정책이 자국 산업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리스가 제안한 가격 폭리에 대한 기업 처벌 정책도 유사 양상을 보인다.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지만, 경제학자 중에서는 단 13%만이 이를 지지했다. 경제학자들은 이 정책이 시장 메커니즘을 왜곡하고 장기적으로 경제에 해를 끼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반면, 유권자들은 이를 소비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조치로 인식한다.

이러한 불확실성과 괴리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은 강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부는 시장이 정치적 불확실성보다 기업 실적과 거시경제 지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분석한다. 또 다른 이들은 시장이 어느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의 반응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정책의 불확실성은 기업의 투자 결정과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경제 성장과 주식 시장 성과에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반독점법 집행, 세제 개편, 무역 정책 등 주요 경제 정책의 방향성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시장의 낙관론이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투자자에게 이 상황은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휘둘리기보다는 장기적인 경제 트렌드와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포트폴리오 다각화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현재 주식 시장은 정치적 불확실성을 상당 부분 무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현상이 아닐 수 있다. 향후 선거 결과와 새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구체화되면,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단기적인 시장 흐름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정치적 위험을 포함한 다양한 위험 요인을 고려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성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