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 Z세대, 팔레스타인에 우호적...대선에 영향 줄까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미 Z세대, 팔레스타인에 우호적...대선에 영향 줄까

소셜미디어 정보 소비와 캠퍼스 시위가 만드는 새로운 정치 지형

중동 전쟁에 불만과 불안 고조, Z세대의 반발.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중동 전쟁에 불만과 불안 고조, Z세대의 반발. 사진=로이터
미국 대선을 앞두고 Z세대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 대한 인식이 주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하마스의 테러 공격과 이에 대한 이스라엘의 대응으로 시작된 가자 전쟁은 젊은 세대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결정적 사건이 됐으며, 이는 단순한 외교 문제를 넘어 미국 내 정치 지형을 재편할 잠재력을 지닌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고 5일(현지시각) 액시오스가 보도했다.
Z세대와 젊은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 세대와 달리 팔레스타인에 더 동정적인 입장이다.

NPR/PBS NewsHour/Marist 여론조사에 따르면,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48%만이 미국의 이스라엘 지지를 찬성하지만, X세대의 63%, 베이비붐 세대의 83%가 지지를 표명했다. 이런 세대 간 인식 차이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소비 패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Z세대의 20%가 틱톡을 주요 뉴스 소스로 활용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관련 콘텐츠가 이스라엘 관련 콘텐츠보다 더 많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는 이 갈등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곳이다.

지난봄 전국의 대학에서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확산하면서 대학 행정부와 정치권은 표현의 자유와 캠퍼스 안전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컬럼비아, 하버드, NYU 등 주요 대학에서 발생한 시위와 체포 사태는 이 문제의 복잡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최근 대학들은 새 학기를 맞아 시위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이는 다시 언론의 자유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젊은 세대의 인식 변화는 미국 대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Z세대 유권자들 사이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가 최우선 순위는 아니지만, 이에 대한 후보들의 입장이 투표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NBC뉴스 스테이 튜닝과 서베이몽키 조사에 따르면, Z세대 유권자의 50%가 카멀라 해리스를 지지하고 34%가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입장은 일부 젊은 유권자 지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민주당은 이 문제로 인한 당내 분열을 우려하고 있다. 친팔레스타인 성향의 일부 대의원들이 전당대회에서 연설 기회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한 사례는 이런 긴장을 잘 보여준다. 반면 공화당은 이 이슈를 민주당의 약점으로 공격하고 있다. 그러나 양당 모두 전통적 친이스라엘 정책에서 급격히 벗어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이 문제는 단순히 외교 정책의 영역을 넘어 미국 사회 내 반유대주의와 이슬람 혐오 증가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반명예훼손연맹(ADL)은 온라인과 대학 캠퍼스에서 극단적 반유대주의 표현이 증가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동시에 미국-이슬람 관계 위원회는 이슬람 혐오가 학교와 직장에서 무슬림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한다.

장기적으로 젊은 세대의 인식 변화는 미국의 중동 정책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워싱턴의 정치인들은 여전히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지만, 젊은 세대가 정치권에 진출하면서 점차 정책 변화의 압력이 커질 것이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 대한 Z세대의 인식은 단순한 외교 문제를 넘어 미국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2024년 대선을 앞둔 후보들은 이 문제에 대한 젊은 세대의 관심과 우려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동시에 캠퍼스와 온라인에서 극단적 표현과 혐오 발언을 어떻게 관리할지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미국 사회는 복잡한 국제 갈등이 국내 정치와 사회 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미국의 접근 방식과 대응은 앞으로의 국내 정치 동향과 사회적 화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