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관세 폭탄' 피해 농민들 "그래도 트럼프 지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트럼프 '관세 폭탄' 피해 농민들 "그래도 트럼프 지지"

경합주 농민층, 경제적 손실에도 문화·정체성 이슈로 결집
2020년 농민표 81% 트럼프 지지, 이번에도 관세보다 이민·국경 우선

트럼프의 관세정책, 보조금으로 농민 달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의 관세정책, 보조금으로 농민 달랜다. 사진=로이터

美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승패를 가를 핵심 경합 주 농촌 유권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현상이 주목받고 있다고 27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보도했다.

관세로 피해를 보았고 앞으로도 피해가 예상되는 농민들이 트럼프를 여전히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전체 유권자의 1.3%에 불과한 농민층이지만, 위스콘신(3.2%), 아이오와(3.8%), 조지아(2.1%) 등 경합 주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번 대선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고 있다.

미시간대 선거행태연구소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의 무역 정책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고, 앞으로 더 큰 손실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경합 주 농민의 77%가 여전히 트럼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대선에서 기록한 81% 지지율에서 다소 하락했으나, 여전히 압도적인 수준이다.

미 농무부 경제연구소(USDA ERS)는 2018년 무역 전쟁으로 270억 달러의 수출 손실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더구나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중국 제품에 60%, 일반 수입품에 최대 10~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USDA ERS와 코넬대 농업경제학과 공동연구팀은 이런 관세 조치가 실행될 경우, 주요 수입국들의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 농산물 수출이 최대 40%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개별 농가당 연간 평균 15만 달러의 소득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는 최근 구체적인 관세 위협도 한 바 있다. 지난 9월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농민 유세에서 생산기지를 멕시코로 이전하려는 농기계 제조사 존 디어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으며, 중국 시진핑 주석에게는 1단계 무역협정에서 약속한 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이행하도록 압박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반면, 해리스 캠프는 '표적 관세' 정책을 제시하며,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고, 동맹국과 무역은 자유무역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차원 친환경 농업 전환을 위해 향후 4년간 500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런 뚜렷한 정책 차이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의 트럼프 지지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90% 폭락과 이로 인한 농민들의 민주당 지지 전환이라는 역사적 사례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위스콘신 농부 저스틴 매토트는 "나라를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투표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처럼 많은 농민에게 국경 안보, 이민 문제, 전통적 가치 수호가 당장 경제적 이해관계보다 우선순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는 이러한 심리를 정확히 파고들고 있다. 그는 농민들의 경제적 손실에 대해 정부 보조금으로 보상하는 한편, 불법 이민자 문제와 중국과 대결 구도를 부각하며 농촌의 문화적 결속력을 강화하고 있다. 실제 지난 무역 전쟁 당시 230억 달러의 보조금이 지급됐고, 이는 많은 농민의 우려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다만 일부 농민들 사이에는 미묘한 균열도 나타나 주목된다. 위스콘신의 한 농부는 이미 한 번의 무역 전쟁으로 잃은 유럽 시장을 회복하지 못한 채 새로운 관세 위협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는 현실에 대해 불편한 심경을 내보이고 있다.

이번 대선은 단순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넘어, 미국 농촌사회의 정체성과 가치관이 실질적인 경제적 손실을 얼마나 감내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보호무역과 글로벌 시장경제 질서 사이에서 미국 민주주의가 어떤 선택을 할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