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바이든 경제의 허상과 정권 교체의 진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바이든 경제의 허상과 정권 교체의 진실

바이든 경제, '화려한 성적표' 뒤에 가려진 불편한 진실
임기 말 호황 지표에도 중산층·서민 삶은 "팍팍", 응징 투표로 이어져

정권 심판에 실망하는 바이든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정권 심판에 실망하는 바이든 대통령. 사진=로이터
임기 말 화려했던 경제지표에도 불구하고 결국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남긴 그림자는 예상보다 더 깊고 짙었다.

유권자들은 거시경제 지표와 실제 삶의 괴리를 투표로 심판했다. 행정부와 입법부 모두를 트럼프와 공화당에 넘겨주는 정치적으로 최악의 결과를 맞이하고 임기를 마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 외면당한 화려한 성적표


바이든 대통령은 임기 동안 주목할 만한 경제지표들을 남겼다. 3.1%의 GDP 성장률, 3.7%의 실업률, 최근 7개월 연속 3%대로 안정된 물가상승률 등 거시경제 지표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선진국 경제를 선도했고, 나스닥 지수는 취임 당시 대비 60% 이상 상승했다.

그러나 이러한 '눈부신' 성과에도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귀결된 2024년 대선은 거시경제 지표와 서민들의 실제 삶 사이의 괴리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 유권자들이 심판한 경제 양극화


실제로 바이든 행정부 시기 미국의 지니계수는 0.42로 OECD 평균 0.32를 크게 웃돌며 선진국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질임금은 2021년 이후 연속 하락해 2019년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으며, 중위 가구의 저축률은 2021년 12.4%에서 2023년 3.4%로 급감했다.

특히 연소득 6만 달러 미만 소득계층의 지출 증가율이 7.9%에 그친 반면, 10만 달러 이상 계층은 16.7% 증가를 보여 계층 간 격차가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양극화는 결국 유권자들의 분노로 이어졌다.

◇ 우크라이나·중동 전쟁과 높은 물가의 부메랑


바이든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전쟁 개입은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을 초래했고, 이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악화로 이어졌다.

여기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중동 정세 불안정은 원유 공급 불안과 해상 물류 차질을 야기하며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했다. 특히 홍해에서의 물류 차질로 인한 운송비 급등은 글로벌 공급망을 다시 한번 교란하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더욱 심화시켰다. 유권자들은 이러한 연이은 대외정책이 가계 경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외면하지 않았다.

◇ 트럼프의 재집권과 향후 전망


결국 유권자들은 월가의 환호 속에서도 실물경제의 고통을 더 이상 감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투표로 표현했다. 바이든의 '포용적 성장' 구호는 공허한 메아리로 남았고, 중산층과 서민들의 표심은 트럼프에게로 향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제 심화된 경제 양극화라는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게 됐다.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자산시장 호황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계층의 부담은 지속될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4년 전 "중산층을 되살리겠다"는 약속과 함께 백악관에 입성했지만, 결국 그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유권자들의 준엄한 심판 속에 임기를 마감하게 되었다. 화려한 거시경제 지표 이면에 가려진 양극화의 그늘은, 이제 차기 트럼프 정부가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게 되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