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각) 중국이 반도체와 AI 분야를 중심으로 서방 핵심 기술 인재들을 공격적으로 영입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의 대중 기술 제재를 우회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분석된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다면적 접근은 업계에서 "스프레이 앤 프레이(Spray and Pray)" 전략으로 불리는데, 이는 마치 산탄총처럼 최대한 많은 목표물에 접근해 일부라도 성공을 거두겠다는 전략이다.
서방의 핵심 기술 인재들이 중국의 스카우트 제안에 응하는 이유는 파격적인 처우 때문이다. 현 연봉의 3배는 기본이고, 주택과 자녀 교육, 연구 자금까지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중국 정부는 2025 제조강국 전략의 일환으로 반도체와 AI 분야 인재 유치에 대규모 예산을 배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서방 기업이 따라올 수 없는 수준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적이다.
문제는 이런 인재 유출이 단순한 인력 이동을 넘어 기술 유출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의 반도체 기업 펨토메트릭스는 직원 3명이 회사의 기밀 파일을 가지고 중국으로 이직한 사례를 보고했다. 삼성전자의 공장 설계도 유출 사건과 TSMC의 전직 고위 엔지니어가 중국 SMIC로 이직해 7나노미터 칩 개발을 주도한 사례도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기술 유출은 천문학적 경제적 손실을 넘어 결정적 안보적 위험도 초래한다. AI와 양자 컴퓨팅 분야의 기술 유출은 사이버 보안과 군사 정보 체계의 취약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된다.
서방 국가들은 이에 대응해 법적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 보유국가인 대만은 최대 12년 징역형과 300만 달러의 벌금을 규정했다. 이외 독일과 한국도 중국의 기술 절취에 위협을 느끼고 관련 법제를 정비하고 있다.
트럼프 재집권으로,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전 임기 중 화웨이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단행한 바 있으며, 재집권 시에는 반도체와 AI를 중심으로 대중 기술 규제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글로벌 기술 산업의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할 것이다. 특히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국 중심의 진영과 중국 중심의 진영으로 시장이 양분되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이는 다국적 기술 기업들에 진영 선택의 압박을 가중시키고, 연구개발과 생산 시설의 재배치라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은 기술 주권 확보와 국제 협력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전략적 균형을 찾아야 한다.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국의 핵심 기술과 인재를 보호하면서도 글로벌 혁신 생태계와의 연결성을 유지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은 반도체 분야에서는 기술 보호에 중점을 두되, AI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개방적 협력을 추구하는 등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