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의 딜레마, 시진핑의 '강국 굴기' 집착이 경제 위기 키우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중국의 딜레마, 시진핑의 '강국 굴기' 집착이 경제 위기 키우나?"

미·중 GDP 격차 확대 속 기술 패권 전쟁 가속화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2023년 10월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 참가자들을 환영하는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2023년 10월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일대일로 포럼 참가자들을 환영하는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심각한 경제 위기 속에서도 미국과 패권 경쟁을 위한 국가 주도형 경제정책을 고수하면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중국의 GDP는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미국을 추격해왔다. 2017~2021년 5년간 중국은 25.4%의 누적 성장을 기록한 반면 미국은 9.3%에 그쳤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성장 둔화로 2023년 기준 중국(17.8조 달러)과 미국(23조 달러)의 GDP 격차는 다시 벌어지는 양상이다. S&P 글로벌은 중국의 GDP 성장률이 2024년 4.8%, 2025년 4.1%, 2026년 3.8%로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진핑 체제 10년은 "잃어버린 10년"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부동산 시장 붕괴, 지방정부 부채 급증, 디플레이션 위험 등 구조적 문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시진핑은 시장 중심의 개혁 대신 반도체와 전기차 등 전략산업 육성을 통한 기술 자립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핵심 과제들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중국의 가계소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미국(68%)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부동산 시장 정상화와 지방정부 부채 문제 해결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미·중 갈등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전망이다. 트럼프가 공약한 60% 대중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중국 GDP는 최대 2%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에 중국은 희토류 등 핵심 원자재의 수출 통제 강화와 개발도상국과의 경제 협력 확대 등 '경제 무기화'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도 시진핑은 여전히 미국 추월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당초 2028~2033년으로 예상됐던 추월 시점이 경제 성장 둔화와 미·중 갈등 심화로 인해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미·중의 글로벌 패권 장악을 위한 양보 없는 경쟁과 갈등은 양국을 주요 수출무대로 삼고 있는 한국 경제에 향후 큰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의 전략적 선택이 불가피해질 것이며, 특히 반도체와 배터리 등 핵심 산업에서의 기술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시진핑의 현 정책 기조는 중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보다 미국과의 장기 패권 경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동시에, 새로운 경제 블록화를 촉진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런 행보가 단기적으로는 경제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나, 중국은 이를 감내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기술 패권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을 강행할 것으로 분석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