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략 광물 쟁탈전, 2025년 더 심화되나...인질극까지 발생

글로벌이코노믹

전략 광물 쟁탈전, 2025년 더 심화되나...인질극까지 발생

72개국 자원민족주의 확산 속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
에티오피아 리튬광산 군인 점거, 말리 40억 달러 강제 징수...기업인 구금까지
2023년 4월 18일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 주 이팅가에 있는 그로타 도 시릴로 광산에서 샘플을 채취 장면.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3년 4월 18일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 주 이팅가에 있는 그로타 도 시릴로 광산에서 샘플을 채취 장면. 사진=로이터

글로벌 광물자원 시장이 폭력과 위협이 난무하는 새로운 전장으로 변모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중 패권경쟁이 격화되면서 자원 보유국들의 행태가 극단적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배터리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 필수 원료를 해외에 크게 의존하는 한국은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전략 광물 확보 경쟁은 시장에 극심한 변동성을 초래하고 있다. 벤치마크 미네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리튬 가격은 2022년 전기차 배터리 수요 급증으로 톤당 8만 달러까지 치솟았다가, 2024년 초에는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공급 과잉 우려로 1만 달러 수준까지 급락했다. 반면 금 가격은 자원 민족주의 확산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고조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며 2025년 1월 온스당 2600달러를 돌파했다.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가 집계한 자원민족주의 지수는 충격적인 현실을 보여준다. 전 세계 198개국 중 72개국에서 지난 5년간 개입주의와 보호주의가 급증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다.

에티오피아 남부의 리튬광산에서 벌어진 사건은 이러한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호주 아비시니안 그룹이 추진하던 2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현장에서 닐 워버튼 회장이 아침 식사를 하던 중 무장 군인들이 들이닥쳤다. "그들은 자동 무기를 든 육군 병사들이었다. 움직이라고 하면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 워버튼의 증언이다.

이러한 긴장은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580km 떨어진 말리에서는 러시아와 손잡은 군사정부가 배릭골드를 비롯한 국제 광산기업들로부터 40억 달러를 강제 징수했다. CEO 체포영장 발부와 직원 구금까지 자행했다. 인근 콩고민주공화국은 로열티 분쟁을 이유로 글렌코어의 자산을 동결했으며, 대서양을 건너 파나마는 세계 구리 생산량의 1.5%를 차지하는 퍼스트퀀텀의 광산을 폐쇄했다.

이러한 극단적 행태의 배경에는 복합적 요인이 자리잡고 있다. 미국은 CHIPS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을 통해 핵심광물 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중국은 희토류를 비롯한 전략광물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다. 양국의 각축 속에 자원 보유국들의 협상력이 커지고 있다. 팬데믹 이후 재정난을 겪는 개발도상국들은 이를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투자 환경도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스프로트의 존 참파글리아는 "파나마 구리광산 투자가 실제로는 파나마 정당에 대한 투자였다"며 정치적 리스크를 지적했다. 광산기업들은 세계은행 산하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CSID)에 중재를 신청하고 있지만,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취약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주요 전략 광물 자급률은 리튬 0%, 니켈 0%, 코발트 0%, 희토류 0.8%에 그친다. 정부는 2024년 호주, 칠레 등 6개국과 광물 공급망 협력 MOU를 체결했으며, 한국광물자원공사를 통해 해외 광산 지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민간 기업들도 포스코, LG엔솔, 삼성SDI를 중심으로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등에서 광물 확보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에는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미중 관계 변화가 전략 광물을 둘러싼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는 자원 민족주의 지수가 현재 72개국에서 2025년 말까지 90개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각국은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역내 리튬 제련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심해저 광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도 도시광산 활성화와 대체 소재 개발, 자원 외교 다변화라는 '3축 전략'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자원 안보는 첨단 기술 확보와 전략적 외교의 결합이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