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자동차 25% 관세 현실화…현대차·한국지엠도 타격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자동차 25% 관세 현실화…현대차·한국지엠도 타격 불가피

자동차, 대미 수출 1위 품목…작년 수출 물량 절반이 미국행
현대차그룹, 현지생산 확충에 시간 걸려…한국지엠 철수설 증폭
울산공장 수출선적 부두 및 공장 전경. 사진=현대자동차이미지 확대보기
울산공장 수출선적 부두 및 공장 전경. 사진=현대자동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며 국내 자동차 업계에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지 투자로 정면 돌파한다는 구상이지만 계획이 현실화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 단기적으로 관세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규모가 작은 한국지엠이나 자동차 부품 업체는 마땅한 대응 방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각)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면서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수입차 25% 관세 예고를 현실화하며 자동차 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 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 달러)의 49.1%를 차지했다.

미국의 평균 수입 가격에서 한국산 자동차·부품의 수입 가격 비율은 0.8로, 다른 나라에서 미국으로 수입된 자동차 평균 가격보다 한국산 자동차 가격이 낮은 편이다. 그동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관세 없이 수출한 덕분이다.

그러나 25%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 저하로 수출에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어 업계는 물론 한국 경제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자동차 산업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작년 대비 18.59%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최근 대규모 대미 투자 발표로 트럼프 대통령의 눈도장을 찍었던 현대차그룹도 단기적인 악영향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2028년까지 미국에 31조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자동차 생산(86억 달러), 부품·물류·철강(61억 달러), 미래 산업·에너지(63억 달러) 등이다.

현지 생산을 늘려 완성차 관세가 부과되는 물량 자체를 줄이면서 제철소 건립 등 수직 계열화를 통해 원자재 관세 여파도 피하겠다는 구상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대미 수출 규모는 101만5005대다. 현대차가 63만7638대, 기아가 37만7367대를 수출했다.

하지만 투자 계획이 4년 기간이고 생산능력 확대, 제철소 건립 모두 단기간에 할 수 없어 현대차그룹도 당장 타격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이날 준공식을 연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는 연간 30만 대 규모이지만 지난달 출고량은 4073대였다.

GM의 한국 생산기지 역할을 맡고 있는 한국지엠은 생존 자체가 위태롭다는 분석이다. 한국지엠의 미국 수출량은 약 41만 대로 대미 수출 비중이 85%에 달한다.

2019년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군산공장 문을 닫았던 한국지엠의 철수설이 거론되는 이유다.

업계에서는 우리 정부가 신속한 대응을 통해 미국 현지 투자를 어필하면서 관세 면제 내지는 유예를 끌어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업체 한 관계자는 "우려하고 준비했던 일이 현실화된 것이다"라며 "개별 회사 차원에서 막을 수 있는 것이 아닌 만큼 면밀히 상황을 지켜보며 정부의 대책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