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50개 주서 1100만명 대규모 反트럼프 시위..."변화 위한 저항"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50개 주서 1100만명 대규모 反트럼프 시위..."변화 위한 저항"

풀뿌리 단체 '50501', 트럼프 정책 반대 전국 동시다발 시위 주도
손을 떼라 시위, 솔트레이크시티, 2025년 4월 5일.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손을 떼라" 시위, 솔트레이크시티, 2025년 4월 5일. 사진=로이터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취임 이후 시행된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뉴스위크는 지난 19(현지시각) '50501' 운동이 주도한 시위가 미국 50개 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50개 시위, 50개 주, 하루'를 뜻하는 '50501' 운동은 지난 2'나의 대통령이 아니다(Not My Presidents Day)' 시위와 이달 초 전 세계적인 '손대지 마라(Hands Off)' 시위를 조직했던 빠르게 성장 중인 풀뿌리 운동의 최근 행동이다.

주최 측은 이번 시위에 미국 인구의 3.5%에 해당하는 1100만 명 이상의 참여를 목표로 했으며, 이를 "변화를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저항의 문턱"으로 표현했다. 50501 운동의 계열 단체인 '우리(국민)는 반대한다(We the People Dissent)'에 따르면 이날 미국 전역에서 525개 이상의 행사가 개최됐다.

50501의 전국 언론 담당자인 헌터 던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날은 단순한 시위보다는 수많은 현안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날"이라며 "남부 캘리포니아에서는 파괴적인 산불로 여전히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상호 원조 활동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규모 추방 계획에 반대하는 시위로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트럼프 재취임 후 정책 반발 확산


이번 시위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이후 시행한 일련의 행정명령에 대한 반발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재취임 이후 연방정부 재편, 환경보호 축소, 언론 접근 제한, 강력한 이민 정책 시행 등을 추진해왔다.

비판론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법부 판결에 도전하고 선거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발언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이런 정책들과 함께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예산 삭감, 주식 시장 영향, 물가 상승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시위 주최 측은 일부 지역에서 법 집행 인력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민세관단속국 요원도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고 참가자들에게 경고했다. 아울러 이들은 자신들의 운동이 민주화를 지지하며 "비폭력에 확고하게 기초를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시 시위에 참가한 '토니'라는 시위자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여기 있는 건 이 사람들이 불법적으로 체포됐기 때문"이라며 "미국에는 유죄가 입증되기 전까지는 무죄라는 원칙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피노체트 등이 남미에서 했던 것과 똑같은 테러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뉴욕 시위 참가자는 뉴스위크에 "전국을 장악하고 있는 파시즘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시위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 소셜미디어에서 시작된 풀뿌리 운동


50501 운동은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 정책에 대응해 올해 초 등장한 풀뿌리 조직이다. 이 운동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 시작되어 다른 소셜 미디어로 확산됐으며, 20171월 여성 행진과 같은 과거 반트럼프 대규모 시위에서 영감을 받았다.

50501 운동은 소셜미디어 블루스카이를 통해 "4/19 또는 50501 운동의 행사가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군사력 사용을 정당화하기 위해 왜곡되었을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주최 측은 이번 전국적 시위의 여세를 몰아 기존 옹호 단체와 더 넓은 연합을 구축하고, 일회성 행사를 넘어 지속적인 저항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런 전국적인 반트럼프 시위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CNBC가 지난 19일 발표한 전미경제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물가 상승, 정부지출 등에 대한 광범위한 불만 속에서 대통령 재임 중 최악의 경제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해 43%가 지지하고 55%가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NBC 여론조사에서 트럼프가 올해 대통령으로 취임한 후 실시한 경제 부문에서 처음으로 부정적 평가가 앞선 사례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