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우크라 전쟁 여파 '美·中 패권' 신냉전 시대 오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초점] 우크라 전쟁 여파 '美·中 패권' 신냉전 시대 오나?

대만 문제 글로벌 패권 쟁탈전 최대 변수 될 듯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사진=로이터
러시아가 서방이 주도하는 기존 질서를 해체하려고 도발한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상은 급변하고 있다. 단순히 유럽 질서의 재편이 아니다.

중국이 미국과의 경쟁에 더 강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세계는 앞으로 더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세계 질서는 마치 냉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변질되고 있다.

중국의 암묵적 지원은 러시아의 전쟁 능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세계는 두 개의 적대적인 블록 사이의 대리전이 되었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호주 등 민주 진영은 우크라이나를 돕고 중국, 이란, 북한, 벨라루스 등 권위주의 국가들은 러시아를 돕고 있다.

인도에서 브라질, 아프리카 대부분에 이르는 국가들은 어느 쪽을 지지하는 것이 자국에 유리할 것인지를 관망하면서 저울질하고 있다. 이들은 사실 ‘제3 진영’을 형성하고 있다.

국제관계 학자들은 이 글로벌 질서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면서 미래에는 어떤 모습을 보일지 주목한다.

우선 단극체제다. 얼마 전 미국이 단극체제의 리더였다. 선례에는 로마 제국, 중국 당나라가 포함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강대국은 특권에 큰 부담을 느끼기 시작한다. 다른 모든 세력은 무임승차하거나 무리를 지어 단극에 맞서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 단극은 질서 유지에 막대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양극은 기원전 5세기 스파르타와 아테네에서 18세기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물론 20세기 미국과 소련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인 선례가 있다. 양극은 단극체제로 진행하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한다. 안정과 불안정이 공존한다.

다극주의는 17세기 유럽, 나폴레옹 전쟁 이후 19세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20세기 유럽에서 나타났다. 많은 국가들 사이에서 힘의 균형이 바뀐다. 그러나 다극체제도 결국 무너진다. 20세기의 무솔리니, 히틀러, 스탈린 등은 몰락했다.

미국이 단극에서 내려앉을 경우 새로운 질서 체제가 나타날 수 있다. 당장 세상이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불확실성과 불안이 더 커지고 있다.

이번에 나타날 양극 혹은 다극은 가치를 기반으로 이익을 추구한다. 민주 대 권위주의 경쟁이다. 역대 최강자들의 갈등 조합이다.

푸틴이 이끄는 러시아는 글로벌 질서를 위협하는 혼돈의 주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서방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 그들이 장악하고 있는 에너지 위력과 핵 위협은 다른 세계를 위협하지만 결정적인 변수는 아니다.

문제는 새롭게 등장한 중국이다. 시진핑 주석 아래의 중국은 패권을 위해 미국에 도전할 수 있는 유일한 강대국이다. 패권국에 도전하는 가장 강력한 경쟁자다. 인구와 경제의 크기, 다른 나라에 미치는 영향력이 결코 가볍지 않다.

이 중국이 자신들의 주장처럼 대만을 점령하기 위해 군사력을 동원할 경우 세계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능가하는 거대한 전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중국은 패권에 도전하는 입장에서 대만을 확실하게 장악해야 하고, 패권을 유지해야 하는 미국은 대만을 내어줄 수 없다.

러시아는 중국이 대만에서 전쟁을 일으켜 주기를 바란다. 미국과 EU의 힘이 분산되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가 실현된다. 권위주의의 확산이다.

중국이 대만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감내하고 상처를 입더라도 점령하게 되면 중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미국과 대등한 위치에 서게 된다. 아시아의 전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확실하게 커진다. 미국은 아시아를 중국 영향력 아래로 내주게 된다.

양대 진영은 지금 양보할 수 없는 대결을 전개하고 있다. 어느 쪽이 완전한 승리를 할지 아니면 제한적 승리를 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 우리는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할지, 제3 진영에 포함되어야 할지 선택해야 할 순간에 점차 노출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