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드, 테슬라 등 경쟁사 인재 영입해 전기차 시장 재도전

글로벌이코노믹

포드, 테슬라 등 경쟁사 인재 영입해 전기차 시장 재도전

경쟁 기업 최고 기술 인재 활용, 가성비 전기차 개발 진행

포드, 전기차 시장 재도전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포드, 전기차 시장 재도전 사진=로이터

포드자동차가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기차 시장 둔화로 관련 기업들의 투자가 주춤하는 가운데, 포드는 이 시장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 최근 테슬라, 애플, 리비안 등 경쟁사 출신 최고 인재들을 대거 영입, 반격의 고삐를 죄고 있다고 12일(현지시각) 테크크런치가 보도했다.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지난해 약 300명 규모로 '포드 어드밴스드 전기차' 팀을 편성한 데 이어, 리비안 50명, 테슬라 20명 이상, 카누 12명 등 경쟁기업 출신 전문가들을 대거 스카우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주로 엔지니어와 프로젝트 매니저 출신으로, 저비용 전기차 플랫폼 개발에 투입될 것이라고 한다.

특히, 주목할 대목은 테슬라의 ‘기가캐스팅’ 기술 전문가와 애플 자율주행차 개발 프로젝트 ‘타이탄’에 참여했던 인력까지 영입했다는 점이다.

테슬라 핵심 기술인 ‘기가케스팅’은 차체의 큰 부분을 통째로 주조하는 방식으로, 생산 비용 절감, 차체 경량화, 조립 공정 단순화 등 장점을 제공한다. 이 기술 전문가 영입으로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려는 의도를 보인다.

또한, 애플의 ‘프로젝트 타이탄’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으며, 관련 엔지니어 영입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관심을 나타낸다.

포드는 이들 기술을 활용해 생산 비용 절감과 차체 경량화는 물론 자율주행 기술까지 한꺼번에 잡겠다는 구상을 실현하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포드가 테슬라를 추월할 가성비 있는 전기차 생산은 물론 중국산 저가 전기차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을 실현하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우리 팀은 전기차 비용과 효율성에 무자비하게 집중하고 있다”라며 “포드의 궁극적 경쟁자는 저렴한 테슬라와 중국 업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또한, 포드는 지난해 인수한 전기차 스타트업 ‘오토모티브 파워’(AMP) 소속 100여 명의 인력까지 투입해 차세대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실제로 AMP팀은 테슬라 모델3와 경쟁할 수 있는 가격대의 새 모델 개발에 주력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가파른 판가 하락세가 이어지는 전기차 시장에 가성비를 앞세운 신차 출시는 포드의 당면과제이다.

아울러 포드는 최근 기술혁신의 중심지인 실리콘밸리에 R&D센터를 구축, 구조조정 중인 자율주행 기업 누로와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기업 조비 등에서 인재를 영입하며 미래 모빌리티 기술 확보에도 힘을 쏟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포드는 전기차 전환기에 막대한 손실을 감수하고 있지만, 이번 인재 영입을 계기로 침체를 털고 반격에 나설 것”이라며 “저렴하면서 혁신적인 전기차를 통해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라고 말한다.

실제 포드의 전기차 판매 실적은 2023년 72,608대에 그쳐 전체 매출의 3.6%에 불과했다. 블룸버그는 포드가 현재 전기차 1대를 판매할 때마다 1억3,850만 원(10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포드는 전기차의 미래를 확신하고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본격적인 시장 공략을 통해 2030년까지 연간 200만대 이상 전기차 판매와 차량 판매의 50%를 전기차로 만드는 ‘포드 EV 비전’을 실현할 계획이다. 향후 2조 달러 규모 전기차 시장에서 포드가 최대 점유율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업계에서는 “포드의 이번 행보가 과연 전기차 시장 주도권 확보로 이어질지 관심사”라며 “저비용 고성능을 앞세운 혁신적 모델 출시 여부가 포드 비전 실현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드가 가성비를 갖춘 혁신적 모델 개발에 착수한 것은 우리 배터리 기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 의회가 CATL 배터리 수입 금지를 행정부에 요청한 상태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에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