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EU 견제에도 中 배터리 손잡은 스텔란티스…현대차는 韓업체와 협력 강화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EU 견제에도 中 배터리 손잡은 스텔란티스…현대차는 韓업체와 협력 강화

전기차 국내 산업계 미래 먹거리로 우뚝
협업 통해 기술개발 노력한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주도권 확보

기아의 전기차 저변 확대 모델 더 기아 EV3가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기아의 전기차 저변 확대 모델 더 기아 EV3가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전기차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국과의 협업을 늘리는 상황에서 현대자동차 그룹은 LG, 포스코 등 국내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나섰다. 국내 기업들과 전기차, 배터리·소재, 전장, 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협력 강화를 통해 중국 전기차 관련 업체들과 확실한 격차를 두겠다는 전략에서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자체 기술력과 함께 든든한 국내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보급형 전기차부터 고급 모델까지 모델 다양화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국내 기업들과 협력을 늘려 전기차 경쟁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반면, 미국과 이탈리아 합작기업인 스텔란티스는 최근 미국 미시간주에서 열린 투자자설명회에서 전기차 분야와 관련해 중국 업체 CATL과 협력하는 내용의 유럽 시장 공략 계획을 공개했다 .

스텔란티스는 CATL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어 자사의 전기차 가격 경쟁력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중국산 배터리와 전기차에 대한 관세가 높아졌지만, 유럽 현지 생산을 통해 이 규제를 피할 계획이다.
경기 불황과 함께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자체적인 기술개발보다 중국의 전기차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저렴하게 전기차를 개발하기 위한 수단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예측이 불가능한 기술개발 비용을 지불하는 것보다 협업을 택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현대차의 글로벌 전기차 전략은 다르다.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그룹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국내 기업들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세계 전기차 시장을 공략 중이다.

현대차그룹의 기존 일부 모델에도 중국산 배터리가 사용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출시하는 E-GMP 전기차를 비롯해 내연기관 기반 전기차까지 국내산 배터리를 활용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대표적인 모델이 기아 EV3다.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해 보조금 지원을 통해 3000만원대로 구매 가능한 모델인 EV3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 삼원계(NCM) 배터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산 배터리를 활용하는 브랜드와 차별화하기 위한 조치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EV3 출시 당시 "대중화 모델인 만큼 고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NCM 배터리를 활용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LG전자 외에도 삼성전자·SK그룹 등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배터리 분야의 협업과 함께 전장 부문, 나아가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국내 기업 간 협업을 늘려가며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의 일환으로 전기차 전략에 힘을 싣고 있고 대세로 지목받고 있는 만큼 다양한 기업들이 신사업으로 전기차 분야를 주목하고 있다. 포스코를 비롯해 롯데그룹·LS그룹 등도 전기차 관련 사업을 신사업으로 설정하고 노력 중이다.

철강에만 국한됐던 포스코그룹과의 협력 분야가 이차전지 소재로의 확대가 이뤄지고 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스틸 다이내믹스 포럼’에서 성장 둔화세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자동차 시장 전망에 대해 “자동차 시장은 결국 전기차로 전환될 것”이라며 “‘캐즘’의 시기 내실을 다지기 위한 기회로 삼아 신규 투자 기회를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장 회장의 이 같은 발언은 현대차그룹을 정점으로 LG와 삼성, SK 등 이차전지 3사와의 관련 업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K-전기차 산업 구조가 받쳐주고 있는 덕분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