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OPEC+, 감산 정책 고수 속 균열 조짐...유가 향방 불확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OPEC+, 감산 정책 고수 속 균열 조짐...유가 향방 불확실

10월 감산 완화 가능성 시사...사우디ㆍ러시아, 이해관계 엇갈려

하반기 유가가 다시 요동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산유국 사이의 입장 차이가 산유량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OPEC+ 감산 조정 이견 나와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OPEC+ 감산 조정 이견 나와 사진=로이터

OPEC+(석유수출국기구 및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 협의체)가 원유 감산 정책을 고수하기로 했지만, 내부적으로는 균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2일(현지시각) 로이터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10월부터 감산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각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다고 한다.
OPEC+는 글로벌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과 그룹 외부의 공급 증가 속에서 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합의된 일련의 조치에 따라 하루 총 586만 배럴, 즉 전 세계 수요의 약 5.7%를 감산하고 있으며, 2023년 7월부터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하루 200만 배럴의 자발적으로 추가 감산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OPEC+의 전체 감산량은 기존의 하루 586만 배럴에다 자발적 추가 감산인 220만 배럴을 합해 총 806만 배럴을 감산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석유 수요의 약 7.9%에 해당하는 양으로, 상당한 규모의 감산이다.

OPEC+는 1일 온라인 장관급 감시위원회(JMMC) 회의를 열고, 9월까지는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시행한 국가들이 약속을 이행하고, 10월부터는 시장 상황에 따라 점진적 감산 중단 또는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는 10월부터 감산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다시 말해 하루 586만 배럴의 감산은 유지한 가운데 자발적 추가 감산인 220만 배럴에 대해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말이다.

이들은 석유 생산량을 줄여 유가를 높게 유지하려는 행보를 보여왔다. 즉, 석유 가격이 너무 높아지거나 석유가 부족해지면 석유 생산량을 다시 늘려 가격을 안정화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현재 유가는 2024년 4월 배럴당 92달러 이상을 기록한 뒤 81달러 이하로 하락하다, 최근 중동 긴장으로 약간 상승하는 흐름이다.

감산 완화에 대한 회원국 간 입장은 엇갈린다. 러시아는 현재 유가 수준에 만족하며 4분기부터 수요가 늘어날 경우 증산 가능성을 언급했다. 러시아는 현재의 유가 수준이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적정’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러시아 정부의 재정 상황과 석유 산업의 수익성, 그리고 전반적 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현재 유가가 만족스러운 수준이라고 본다는 의미로, 현재 석유 시장에서 공급과 수요가 큰 불균형 없이 잘 맞아떨어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유가 방어를 위해 감산 유지를 강조하고 있다.

◇ 유가 향방, OPEC+ 결정에 촉각...한국 경제 영향은?


OPEC+의 감산 정책은 국제 유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유가 향방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주목된다.

올해 상반기 한국의 원유 수입액은 571억 2,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8.7% 감소했다. 이는 국제 유가 하락과 함께 원유 수입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OPEC+의 감산 정책 변화에 따라 유가가 다시 상승할 경우, 한국 경제에 다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유가를 둘러싼 각국의 입장이 달라 OPEC+ 내부의 균열이 심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가운데, 다른 회원국들의 입장도 유동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유가 변동성이 하반기에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OPEC+ 내부 균열은 유가 예측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며 “한국 정부는 유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수급 안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OPEC+ 감산 정책 변화는 국제 유가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변수다. 한국 정부는 OPEC+ 결정을 예의주시해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수급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