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에너지 시장, LNG價 상승·정유 공급 차질로 글로벌 경제 위협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에너지 시장, LNG價 상승·정유 공급 차질로 글로벌 경제 위협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 한국 주요 산업 타격 우려”

최근 에너지 시장 불안정성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경제에 새로운 위협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LNG 가격 급등, 정유소 공급 차질, 기후변화로 인한 전력회사 재정 위기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에너지 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다.
LNG시장 가격 변동 우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LNG시장 가격 변동 우려. 사진=로이터


최근 로이터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LNG 가격 상승과 글로벌 에너지 부문 영향이 예사롭지 않다.
아시아 LNG 현물 가격이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와 국내의 원전 가동 중단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연중 최대 전력 성수기에 원전이 잇단 고장으로 줄줄이 발전을 멈췄다. 이는 에너지 비용 증가로 이어져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우리는 LNG 수입 의존도가 높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2022년 기준, 한국 LNG 수입량은 약 4,600만 톤에 달했다. 이는 전 세계 LNG 교역량의 약 10%로,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의 LNG 수입국이다. 2022년 한국의 LNG 수입액은 약 560억 달러(약 73조 원)에 달했다. LNG 가격의 상승은 한국 경제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LNG 가격 상승은 한국의 주요 산업인 반도체와 배터리 생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너지 집약적인 이들 산업은 생산 원가 상승 압박에 직면할 것이며, 이는 국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석유 공급 차질과 시장 구조적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정유소의 원유 공급 문제는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자립 노력이 직면한 현실적 어려움을 보여준다. 인프라 노후화와 파이프라인 파괴 등으로 세계 주요 원유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나이지리아는 자국 내 석유 제품의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글로벌 석유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며, 국제 유가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석유 공급 불안정은 한국의 석유화학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료 수급 불안정과 가격 변동성 증가로 인해 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 기업의 위기도 다시 부상하고 있다.

하와이 전력회사의 재정 위기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에너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우이 섬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하와이 전력회사는 재정난을 겪고 있다. 향후 유사한 상황에 처한 기업들의 경영 위험을 증대하고, 전력 공급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

우리도 삼척과 울진 등 산불로 인해 에너지 부문이 화재 위험에 노출된 바 있다. 이는 우리 역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에 대비해 에너지 인프라의 강화와 다각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에너지 기업의 재무 상태와 리스크 관리 능력에 주목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 기업들이 대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화 기술 보유 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기술과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업의 성장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에너지 시장 불안정성은 단기적인 경제 충격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에너지 정책과 기업 전략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 수급 차질 예방 차원에서 각국 정부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국 정부도 에너지 믹스 다각화, 신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에너지 효율화 정책 강화 등을 통해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와 경제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현재 에너지 시장 불안정성은 글로벌 경제와 한국 경제에 상당한 도전 요인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는 신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효율화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