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세안의 수출 반등, 글로벌 기술 상승국면 '신호탄'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아세안의 수출 반등, 글로벌 기술 상승국면 '신호탄'

“한국 기업, 동남아 시장 공략 기회 포착해야”

동남아 주요 국가, 수출 호조.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동남아 주요 국가, 수출 호조. 사진=로이터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수출이 강력한 반등을 보이며, 글로벌 기술 상승 국면의 신호탄을 올리고 있다.

최근 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태국과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세안 국가들의 7월 수출 실적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약 2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반도체 사이클의 지속적인 상승세와 해외 전자 제품 수요 회복에 힘입은 결과다.

보도에 따르면, 태국의 7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고, 말레이시아도 12.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성장이 중국 수요 둔화에도 미국과 기타 서방 경제에 대한 상품 수출 증가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아세안 역내 수출도 증가세를 보이며 지역 경제 내실을 다지고 있다.

특히, 이런 수출 호조의 핵심 동력은 전자 및 관련 섹터의 강세다. 글로벌 반도체, 전기차, 스마트폰 판매에 긍정적 전망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S&P 글로벌에 따르면, 7월 아세안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7개월 연속 개선되었으며, 신규 주문 증가율은 1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동향은 한국 경제와 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동남아 시장의 성장은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의 창이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및 반도체 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미중 무역 갈등의 지속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 움직임도 한국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중국산 전자 제품에 대한 미국의 새로운 관세 부과는 한국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들의 수출 경쟁력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 전망에도 불구하고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다.

첫째,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미국 연준이 9월 금리 동결을 시사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계속될 경우 추가 긴축 정책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시장은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만, 경제지표에 따라 연준의 정책 기조가 바뀔 가능성도 있다. 특히, 노동시장의 견조함과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의 지속은 연준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둘째, 유로존의 경기 침체 우려와 중국 경제의 회복 지연도 글로벌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주요 경제권의 동향은 동남아 국가들의 수출 성장세를 제한할 수 있는 요인이다.

셋째, 지정학적 위험도 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미중 갈등은 장기적인 구조적 문제로, 2024년 미국 대선 결과와 관계없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기술 패권을 중심으로 한 양국의 경쟁은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공화당이든 민주당이든 차기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견제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은 반도체와 AI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 또한 자국 기술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기술 패권 경쟁의 심화는 동남아 국가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동시에 양국 간 갈등의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 사이에서 아세안 국가들의 전략적 선택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경제적 이익과 안보적 고려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복잡한 과제를 제시한다. 특히,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같은 지역 내 갈등은 언제든 무역과 투자 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이다.

또한, 미국의 새 행정부가 취할 수 있는 추가 보호주의 조치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비록 바이든 행정부가 트럼프 시대의 극단적인 보호무역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하지만, 국내 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적 압박은 여전히 강하다. 특히, ‘친환경(Buy Clean)’ 정책과 연계된 새로운 형태 무역 장벽이 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동남아 국가의 수출에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다.

이런 복합적 요인들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수출 전망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이런 기회와 위험을 균형 있게 고려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아세안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되,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한 위험 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투자자들 역시 이러한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 동남아시아 시장의 성장세는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전자 및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변동성이 큰 만큼 분산 투자를 통한 리스크 관리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아세안 국가들의 수출 반등은 글로벌 기술 업사이클의 신호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한국 경제와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동시에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앞으로의 경제 정책과 기업 전략은 이런 기회와 위험을 균형 있게 반영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