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이민자 유입 변화, 노동시장·경제정책 뒤흔든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미국 이민자 유입 변화, 노동시장·경제정책 뒤흔든다

"노동시장 불확실성 증가, 연준 정책 결정 복잡성 더해"

미국 이민과 실업, 인플레이션 상호 연계.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이민과 실업, 인플레이션 상호 연계. 사진=로이터

이민 유입 급증과 최근 단속 강화로 인한 변화가 미국 노동 시장과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억제와 고용 안정이라는 연준의 정책 목표 달성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9월 30일(현지시각)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미국 경제는 최근 몇 년간 예상보다 많은 이민자 유입으로 강한 일자리 창출과 소비 지출 증가를 보였다.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2023년 순 이민자 수는 330만 명으로, 팬데믹 이전 예상치인 100만 명을 크게 넘어섰다. 이에, 미국 경제는 인플레이션 압력 없이 월 16만~2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이민자 유입 증가는 노동 공급을 확대해 임금 상승 압력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기업들이 생산을 늘리면서도 비용 상승을 막아, 인플레이션 억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새로운 이민자들의 소비 증가는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바이든 행정부의 국경 단속 강화로 이민자 유입이 감소하면서 노동 시장 동향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2023년 8월 남서부 국경에서의 불법 입국 시도는 전월 대비 약 30% 줄었다. 이는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정부의 강화된 단속 정책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이민자 유입 감소는 노동력 공급 둔화로 이어져, 특히 농업, 건설, 서비스 업종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분야의 임금 상승 압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연준 통화 정책 결정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8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월평균 일자리 증가는 11만6000개로 줄었다. 이는 올해 초 월평균 26만9000개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다.

이 변화는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연준 관계자들은 최근 이민 흐름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이를 정책 결정의 중요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셸 보우먼 연준 이사는 “최근 이민 흐름이 시장에 영향을 미쳤고 앞으로도 계속 미칠 것”이라며, “우리는 아직 그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정확히 측정할 수도 없다”라고 언급했다.

연준의 당면 과제는 노동 시장 둔화가 이민 정책 변화의 일시적 영향인지, 아니면 더 광범위한 경제 침체의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금리 인하의 시기와 규모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노동 시장 둔화가 단순히 이민자 유입 감소 때문이라면, 이는 경제 전반의 약화를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이것이 더 광범위한 경제 침체의 신호라면, 연준은 더 적극적인 금리 인하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

한편, 이민자 고용 데이터의 정확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불법 이민자나 언어 장벽이 있는 이민자들의 고용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실제 노동 시장 상황은 공식 통계와 다를 수 있다. 이는 정책 결정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성과 불확실성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전망이다. 미국의 통화 정책 변화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이민 정책 변화, 그에 따른 노동 시장 변화, 그리고 이것이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하며 투자 전략을 조정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미국의 이민 정책 변화는 단순한 국내 문제를 넘어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통화 정책, 그리고 글로벌 경제와 금융 시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책입안자들과 시장 참여자들은 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면밀히 관찰하고, 그에 따른 대응 전략을 신중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