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G7 국가중 '엥겔 계수' 최고...식비 부담에 신음하는 가계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G7 국가중 '엥겔 계수' 최고...식비 부담에 신음하는 가계

고령화·저성장·인플레이션 '삼중고'...생활 수준 하락, 소비 위축 우려
일본 도쿄의 한 상업지구의 거리 가게.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도쿄의 한 상업지구의 거리 가게. 사진=로이터

일본 가계의 식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물가 상승과 고령화, 저성장이라는 삼중고 속에 식비가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생활 수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각) 닛케이가 보도했다.

엥겔 계수는 가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엥겔 계수가 높을수록 생활 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의 엥겔 계수는 2022년 기준 26%로 G7 국가 중 가장 높았으며, 올해 3분기에는 28.7%까지 치솟았다. 1982년 이후 최고치다.

일본의 엥겔 계수 상승은 고령화, 저성장, 인플레이션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일본은 소득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고령층 증가로 엥겔 계수가 상승했으며,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낮은 상황에서 물가 상승이 지속하면서 식비 부담이 가중됐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계 부담이 더욱 커졌다.

여성의 경제 활동 증가와 맞벌이 가구 증가도 엥겔 계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으로 조리식품 구매가 늘면서 식비 지출이 늘어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엥겔 계수 상승이 생활 수준 하락을 의미한다는 점을 경고하며, 실질 임금 인상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임금 인상을 통해 가계 구매력을 높여야 하며, 생산성 향상을 통해 근로 시간을 단축하고 여가 시간을 늘려, 직접 요리하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엥겔 계수 상승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일본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식비 부담 증가는 가계의 다른 소비 여력을 감소시켜 경제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엥겔 계수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소득층 대상 식비 보조금 지원, 육아 가구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생산성 향상과 실질 임금 인상을 통한 가계 소득 증대라는 지적이다.

일본의 엥겔 계수가 G7 국가 중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는 소식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령화와 저성장이라는 공통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 역시 일본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엥겔 계수는 가계 소비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최근 일본의 엥겔 계수 급등은 고령화, 저성장, 인플레이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고령층은 소득에서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엥겔 계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국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저출산·저성장 기조가 고착하면서 일본과 유사한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이상 기후 등으로 식료품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하면서 가계의 식비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노후 대비 부족, 의료비 증가 등으로 고령층의 소득 불안정이 심화할 경우, 식비 지출 비중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저성장 기조 속에서 식비 부담 증가는 가계 소비 여력을 감소시켜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엥겔 계수 상승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적 안전망 강화, 소득 불균형 해소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저소득층, 고령층 등 취약 계층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강화하여 식비 부담을 완화해야 하며, 최저임금 인상, 사회복지 확대 등을 통해 소득 불균형을 해소하고 가계 소득 증대를 유도해야 한다. 정부는 물가 안정 정책을 통해 식료품 가격 상승을 억제해야 한다.

일본의 엥겔 계수 급등은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사례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선제적 정책 대응을 통해 엥겔 계수 상승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힘써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