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 美 정치·재계 '게임 체인저'로 부상?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머스크, 美 정치·재계 '게임 체인저'로 부상?

2.77억 달러 정치 기부의 파격... 트럼프와 손잡고 기술·산업 패권 재편 예고

세계 최고 부자이자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머스크는 2억7700만 달러의 정치자금을 투입하며 미국 정치·경제 지형의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세계 최고 부자이자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 머스크는 2억7700만 달러의 정치자금을 투입하며 미국 정치·경제 지형의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세계 최고 부자이자 전기차 업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2억7700만 달러의 정치자금을 투입하며 미국 정치·경제 지형의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8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가 분석한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 제출 자료에 따르면,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와 공화당 후보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의 정치자금을 기부했다.

이는 조지 소로스가 2020년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들에게 기부한 1억2500만 달러와 마이클 블룸버그가 2022년 중간선거에서 지출한 1억34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규모다. 오픈시크릿(OpenSecrets) 데이터에 따르면, 자체 선거운동 자금을 제외하면 이는 2010년 이후 개인 기부자의 최대 규모 정치자금이다.

머스크의 이런 행보는 기업인의 정치 참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는 아메리카 PAC 설립을 통한 체계적 선거운동과 함께, 2억 명이 넘는 팔로워를 보유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X를 활용해 트럼프 지지 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다.

스윙스테이트 유권자들을 겨냥한 일일 100만 달러 경품 행사 진행 등 전례가 없는 선거 전략도 구사했다. 이런 노력은 언론으로부터 ‘10월의 스프라이즈’라는 평가를 받았다. 트럼프의 추격세가 시작되고 승리의 분기점이 되었다는 해석도 있다.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트럼프 측근으로 급부상하며 정책 결정 과정에도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FEC 자료에 따르면, 머스크는 세계 지도자들과의 통화에 참여하고 내각 인선에 의견을 개진하고 있으며, '정부효율부(DOGE)' 공동의장으로 선출되어 연방 규제 개혁을 주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의 정치 참여는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테슬라 주가는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기업인의 정치 참여가 직접적인 기업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새로운 사례로 평가하고 있다.

글로벌 산업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머스크 연대는 우주산업, 전기차,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주도권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일각에서는 거대 자본과 미디어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가 민주주의와 기업 지배 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하고 있다.

머스크의 영향력이 한국 산업계에 미칠 파장도 주목된다. 머스크는 그동안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반대 입장을 보여왔는데, 트럼프 정부에서 그의 영향력이 강화될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전기차 시장 진출에 상당한 도전이 될 전망이다. 특히 테슬라와 직접 경쟁하는 고급 전기차 시장에서 제네시스의 입지가 위축될 수 있다.

배터리 산업의 경우, 머스크가 주도하는 규제 완화가 양면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의 4680 배터리 생산 확대와 중국 CATL과의 협력 강화는 LG엔솔,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기업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 반면 전반적인 규제 완화로 인한 전기차 시장 확대는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어, 한국 기업들의 현지 생산 확대와 기술 혁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한편, 트럼프 정부 출범시 머스크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나, 이에 대한 견제도 거세질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진보 언론들은 이미 머스크의 정치 자금 기부와 영향력 확대를 비판적으로 보도하고 있으며, 민주당은 거대 자본의 정치 개입을 제한하는 법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와 함께 초당적 지지 확보를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