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 옌쉐퉁 교수 "트럼프 2기, 중국에 기회와 도전 동시에 제공할 것"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중 옌쉐퉁 교수 "트럼프 2기, 중국에 기회와 도전 동시에 제공할 것"

2019년 한 행사장에서 트럼프와 시진핑의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19년 한 행사장에서 트럼프와 시진핑의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를 앞두고 전략적 평가를 진행하며,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 칭화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옌쉐퉁 학장은 ‘Foreign Affairs’ 최신호에 기고한 글을 통해 트럼프의 재집권이 중국에 양면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고 21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옌 교수는 향후 4년간 미·중 관계가 "더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중국이 트럼프의 첫 임기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트럼프의 '정치적 고립주의' 성향이 역설적으로 중국에 새로운 외교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무역 분야에서는 더 강력한 디커플링 정책이 예상된다. 트럼프는 이미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60% 이상의 관세 인상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통해 우회 수입되는 중국 제품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관세 전쟁에서 승자는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면서도, 자국의 이익을 단호히 수호하겠다고 밝혔다.

안보 측면에서는 남중국해와 대만 문제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옌 교수는 2022년 낸시 펠로시의 대만 방문 때와 유사한 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중국이 현재 경제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어 대만과의 통일을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덧붙였다.

트럼프의 재집권이 중국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옌 교수는 트럼프가 이데올로기 문제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미·중 경쟁이 이데올로기 충돌로 비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트럼프의 고립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미국의 동맹국들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트럼프가 군사 원조를 축소할 경우, 유럽 국가들은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균형을 모색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이 유럽 국가들과의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옌 교수는 분석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미·중 경쟁의 향방을 결정하는 것은 양국의 국내 개혁 성과가 될 것이라고 옌 교수는 강조했다.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보다 더 효과적인 개혁을 추진한다면 미국과의 힘의 격차를 좁힐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 격차는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일부 중국 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가장 큰 위험요소로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미국 정부의 정비를 지목했다. 이는 기술 분야에서의 미·중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은 트럼프의 재집권에 대해 두려움보다는 전략적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국내 개혁의 성공적 추진을 통해 미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이 현실화되면서 한국의 외교·안보·경제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특히,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트럼프의 강력한 대중국 무역 디커플링 정책이 예고된 가운데, 한국의 반도체, 배터리 등 핵심 산업 분야에서의 균형 잡힌 접근이 요구된다. 중국에 대한 60% 이상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은 한국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안보 측면에서는 트럼프의 고립주의적 성향으로 인한 한미동맹의 불확실성 증가가 우려된다. 특히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나 주한미군 관련 이슈가 다시 부상할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다만, 트럼프의 실용주의적 접근은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를 재정립할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보다 실익을 중시하는 트럼프의 특성상, 한국의 외교적 유연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자립도 제고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미·중 양국의 자국 중심 경제 정책 강화가 예상되는 만큼, 독자적인 기술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