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발전용량 24.8% 차지...송전망 용량 부족으로 감축률 상승"
중국의 옥상 태양광 발전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나, 전력망 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택, 공장, 공항 등의 지붕을 활용한 '분산형' 태양광 발전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전력 감축률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은 현재 중국 전체 발전용량의 24.8%를 차지하며, 풍력과 수력을 제치고 두 번째로 큰 에너지원으로 부상했다. 특히 분산형 태양광 발전의 누적 용량은 작년 25만 4400 메가 와트로 전년 대비 61.4% 증가했다.
분산형 태양광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리창 총리는 올해 전인대에서 처음으로 분산형 에너지 개발을 정부 우선순위로 선정했다. 광둥성은 옥상 태양광 설치 기업에 3년간 소득세를 면제하고, 쓰촨성, 충칭, 베이징 등도 보조금을 도입했다.
그러나 송전망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가에너지국(NEA) 자료에 따르면 올해 초 4개월간 설치 용량은 36.6% 증가했으나, 평균 운영 시간은 17% 감소했다.
다이와 캐피털 마켓의 데니스 입 연구원은 "불충분한 전력망 용량으로 많은 지역이 옥상 태양광을 그리드에 연결하지 못해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10월 상업용 태양광 프로젝트의 전력망 업로드 제한을 통해 자체 소비를 늘리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컨퍼런스 보드의 알프레도 몬투파르-헬루 책임자는 "중국은 재생에너지 전기를 전국 송전망으로 공급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치열한 경쟁으로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다. 충칭의 태양광 패널 유통업자 가오 쇼우광은 "제한된 전력망 용량으로 인한 입찰 경쟁으로 이익 마진이 매우 낮아졌다"고 토로했다.
그런데도 불구, 중국의 태양광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차이나에너지뉴스에 따르면 작년 산업 가치는 1조7500억 위안에 달했으며, 약 246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2030년 탄소 배출 정점과 2060년 탄소 중립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태양광 발전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분산형 태양광 발전 확산 사례는 한국 전력 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인프라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국도 태양광 발전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송배전망 확충이 시급하다. 중국이 겪고 있는 전력망 용량 부족과 감축률 상승 문제는 한국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다.
더불어 분산형 태양광 발전의 효율적 확산을 위한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 중국이 도입한 것처럼 세제 혜택과 보조금 지원은 물론, 전력 거래 제도 개선과 같은 시장 구조 개편도 검토해야 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상업용 태양광 설비의 자가소비 촉진 정책이다. 한국도 산업단지나 대형 건물의 자가발전과 소비를 연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송전망 부담을 줄이면서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한국은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함께 전력망 인프라 확충, 제도 개선, 시장 구조 개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