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물류 기업들은 탄소배출량 측정 및 보고 시스템을 도입해야 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GLEC 프레임워크 국제 기준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일부 대기업은 이 기준의 적용이 미흡한 상황이다.
세계 유통물류 산업의 글로벌 흐름은 지속가능한 물류 운영을 위한 국제 기준 도입과 글로벌 공급망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환경 보호와 기업의 경쟁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로 관련 업체들이 미래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25년 유통물류 산업은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고객 중심 서비스, 기업의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트렌드가 상호 작용해 융합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 행동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오프라인 물류의 피버팅 전략과 유튜브 쇼핑 등 새로운 판매 채널이 주목받고 있다.
미·중 무역 전쟁은 트럼프 집권으로 긴장이 최고조다. 미국은 중국의 기술 발전과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 기업과 제품의 세계 경쟁력을 관세로 제약함에 따라 유통물류 산업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1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 정책은 자국 산업 보호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촉진하며 물류 비용 상승을 초래했고 유통물류 산업의 변화와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바이든 정부는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물류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중국 견제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트럼프 정부는 직접 제재와 무역 전쟁으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견제했다. 반면, 바이든 정부는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보고 기술·경제 경쟁력의 강화를 중시하며, 인권 문제를 강조해 국제 사회에서 이슈를 제기하는 접근 방식이었다.
2025년에는 미·중 글로벌 패권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유통물류 산업이 복잡해지며,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물류 허브로서 중요한 중개지 역할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들은 기술 혁신과 지속가능한 경영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트럼프 2기 출범은 유통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호무역주의 우려 속에서 유통업체들은 공급망 관리와 생존 전략을 모색하며, 미국 내 공급망 확대와 현지화가 중요해졌다. 미국의 정책 변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물론, 한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트럼프 2기 집권으로 물류 공급망의 탈중국화의 가속화를 전망했다. 미국의 대중 무역액 감소로 동남부, 캐나다, 멕시코가 새로운 물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기업들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하며 인프라 확보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AI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하며 기술 패권 전쟁을 강화하는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한국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한국 기업의 참여가 없어 우려가 크다. 또한,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한국은 무역 적자국으로 전락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국 경제는 유통물류 산업 환경 변화로 인해 수출입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공급망 다변화와 정부 지원이 중요하며, 친환경 물류 트렌드는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혁신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의 정책과 미·중 패권 전쟁은 한국 유통물류 산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관련 기업은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혁신, 정부 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이는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실근 (사)한국스마트유통물류연구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