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중순부터 컴퓨터칩·원자재까지 부과..."기업·소비자 부담 급증"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이어 컴퓨터 칩, 의약품, 철강 등으로 관세 부과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우려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2월 중순부터 컴퓨터 칩,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석유, 가스 등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끔찍하게 대우한" 유럽연합(EU)에 대한 관세 인상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관세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중국에 대한 10% 관세와는 별도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캐나다와 멕시코는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미국 수입의 28%, 중국은 13.5%를 차지했다. 이로써 2023년 기준 1조3000억 달러 이상의 수입품이 관세 영향권에 들어간다.
백악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1월 31일 브리핑에서 "토요일부터 관세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캐나다산 원유는 관세율을 25%에서 10%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1월 31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미국의 어떤 결정에도 대응할 플랜 A, B, C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같은 날 기자회견에서 "25% 관세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수십억 달러의 부담을 주고 수백만 가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월 31일 오타와 기자회견에서 "강력하면서도 합리적인 대응을 할 것"이라며 "경제적 어려움을 숨기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국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제너럴모터스(GM)의 메리 바라 최고경영자(CEO)는 1월 30일 실적발표에서 "공급망 조정과 국내 생산 이전은 가능하지만, 명확성 없이 대규모 자본을 투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루크필드 재생에너지 파트너스의 코너 테스키 최고경영자(CEO)는 1월 31일 실적발표에서 "새로운 행정부의 정확한 정책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미국 철강노조(United Steelworkers)는 1월 31일 성명에서 "3만 명의 철강노동자가 캐나다산 원유를 사용하는 정유공장에서 일하고 있다"며 "원유 가격이 오르면 베네수엘라 등의 수입유로 대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택스파운데이션(Tax Foundation)의 보고서는 "이번 관세로 미국 가구당 연간 670달러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회계연도에 남서부 국경에서 2만1148파운드의 펜타닐이 압수됐다"고 보고했다. 이는 주로 합법적 입국항을 통해 들어오는 미국 시민으로부터 적발된 양이며, 북부 국경에서는 43파운드가 압수됐다. 백악관은 이번 관세 조치가 불법 이민자와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압박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