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주택시장 '침체의 그림자'...건설업계 체감지수 5개월래 최저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주택시장 '침체의 그림자'...건설업계 체감지수 5개월래 최저

고금리·자재비·인력난 '삼중고'에 봄 성수기도 먹구름
2024년 3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마르코스의 시골 언덕에 건설 중인 새로운 구역의 단독 주택 전경.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3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마르코스의 시골 언덕에 건설 중인 새로운 구역의 단독 주택 전경. 사진=로이터

미국 주택시장이 고금리 기조와 자재비 상승, 인력난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가운데, 봄 성수기를 앞두고도 건설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19일(현지시각) 악시오스가 미 상무부, 전미주택건설협회(NAHB), 프레디맥 등 유관기관의 최신 통계를 종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급증했던 주택 건설 활동이 새해 들어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NAHB가 발표한 2월 주택건설업자 신뢰지수는 42를 기록, 전월 대비 5포인트 하락하며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현재 주택 판매 상황은 4포인트 하락한 46을, 구매자 방문 지수는 3포인트 하락한 29를 기록했다. 특히 향후 6개월간의 판매 기대치는 13포인트나 급락한 46으로, 2023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실제 건설 현장의 상황도 좋지 않다.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1월 신규 주택 착공 건수는 136만6000호로 전월 대비 9.8%,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했다. 특히 단독주택 건설은 8%, 아파트 건설은 11% 각각 감소했다. 신규 주택 착공 허가 건수는 148만3000호로 전월 대비 0.1%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7% 감소했다.

NAHB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버트 디츠는 "가전제품의 32%와 연목(소프트우드 목재)의 30%가 해외에서 수입되는 상황에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건설업체들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택 구매자들의 금리 부담도 여전하다. 프레디맥에 따르면,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는 13일 현재 6.87%로, 1월과 2월 내내 7% 수준을 웃돌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지난해 9월부터 금리인하를 검토하고 있지만, 견고한 경제 상황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10년물 국채금리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인력난도 우려하고 있다. NAHB 자료에 따르면, 미국 건설 노동자의 25.5%가 이민자이며, 특히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주에서는 이 비율이 40%를 상회한다. 이민 정책이 강화될 경우 노동력 수급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칼 해리스 NAHB 회장은 "건설업자들은 규제 개혁을 포함한 개발 친화적 정책에 대한 희망을 품고 있지만, 현재의 정책 불확실성과 비용 상승 요인으로 인해 2025년 전망을 하향 조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RSM의 조셉 브루수엘라스 이코노미스트는 "전체 주택 시장은 여전히 300만 채 이상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공급 부족은 주요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캘리포니아부동산협회(CAR)는 2025년 캘리포니아주의 중간 주택 가격이 90만9400달러로 전년 대비 4.6%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부동산 조사업체 리얼터닷컴(Realtor.com)은 2025년 미국 전체 기존 주택 매매가 1.5%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텍사스주 주요 도시들은 높은 경제 성장률과 기업 이전에 따른 인구 유입으로 이를 상회하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자재비 상승 압박도 거세다. NAHB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 주택 건설에 사용된 수입 자재 규모는 약 130억 달러에 달하며, 새로운 관세 도입시 건설 자재 비용이 최대 40억 달러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주거비용의 인플레이션 영향도 예의주시되고 있다. NAHB 자료에 따르면, 주거비용은 미국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약 36%,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의 약 45%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주거비가 CPI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 중 하나로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인플레이션 통제 정책에서 주요 고려 대상이 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