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채권시장, 관세 불안 속에도 외국인 투자 22% 늘어

글로벌이코노믹

美 채권시장, 관세 불안 속에도 외국인 투자 22% 늘어

10년물 국채 매수 50% 급증...연준 "소비자 지표 견고, 기업 심리는 악화" 분석
기축 통화 위용을 가진 미 달러 지폐들이 쌓여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기축 통화 위용을 가진 미 달러 지폐들이 쌓여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매입이 지난달보다 22% 증가했지만,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 심리가 악화되며 경제 전망이 흐려지고 있다. 이는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Fed)가 각각 내놓은 최신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재무부가 지난 23일 발표한 '경매 할당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및 국제 부문 투자자들은 4월 상반기 국채 경매에서 3월 상반기보다 22% 많은 국채를 사들였다. 특히 10년물 국채 경매에서는 72억 달러(102800억 원)를 매수해 지난달 464000만 달러(66000억 원)보다 50% 이상 늘었다. 30년 만기 국채 경매도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소시에테 제네랄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 수바드라 라자파는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장기 국채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로 이번 보고서에 더 주의를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월에 0.141%포인트 하락했으며, 채권 수익률은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이러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견조한 매수세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과도 일치한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경매에서 외국 경쟁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불안한 기업 심리와 견고한 소비 지표의 동시 진행


연준이 같은 날 발표한 '베이지북'은 미국 경제가 이중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 기초 여건은 견고하지만, 기업들의 분위기는 어두워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지북에 따르면, 자동차 판매는 견실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자 지출은 감소했다. 또한, 업무와 여가 목적의 여행이 둔화되고 있으며 국제 관광도 줄어들고 있다고 보고됐다.

주목할 점은 여러 연준 지역 은행이 기업들이 관세 관련 불확실성 증가로 고용을 미루거나 심지어 해고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는 것이다. 경제 활동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보고한 지역 수도 늘었다.

시카고 연준 총재 오스탄 굴스비는 이달 초 기자회견에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실제로 정성적 데이터에 훨씬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며 기업 지도자들과 나눈 대화 내용을 언급했다.

◇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보유 의미와 영향


미국 국채를 대량으로 보유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움직임은 미국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피터슨 재단은 9조 달러(12800억 원) 이상의 미국 부채가 1년 이내에 만기가 돌아올 것이라고 추산했다. 정부는 이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인 일본은 지난 2317억 달러(452900억 원)의 장기 국채를 순매입했고, 2위 보유국인 중국은 48억 달러(68500억 원)의 국채를 순매도한 것으로 재무부 국제자본 최신 자료에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3월에 발행된 2년에서 30년 만기 전체 국채의 9.1%를 매입했는데, 이는 이전 두 달 동안의 수준과 거의 비슷하다.

앱터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포트폴리오 운용역 존 루크 타이너는 "외국인들이 미국 국채를 대량 매각하는 것은 자신들에게도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 외환 거래의 약 88%가 미국 달러와 관련되어 있으며, 세계 금리 대부분이 국채에 연동돼 있어 국채 가치 하락은 해당 보유 자산의 가치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주요 국가 기관들만 해도 최소 3조 달러(4287조 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분석했다.

한편, 베이지북은 오는 56일부터 7일까지 열리는 연준 정책결정자들의 차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위해 준비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낮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완화 같은 경성 지표가 보여주는 경제적 회복력과 심리, 시장 행동, 정치적 배경이 보내는 경고 신호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판단할지가 주요 논의 대상이 될 전망이라고 배런스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